맨위로가기

레오폴도 갈티에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오폴도 갈티에리는 아르헨티나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1981년 12월부터 1982년 6월까지 아르헨티나 대통령을 역임했다. 이탈리아계 이민자 출신으로, 1970년대 군사 정권에서 '더러운 전쟁'을 지휘하며 페론주의자와 좌익을 탄압하는 데 관여했다. 1982년 포클랜드 전쟁을 일으켰으나 패배하면서 실각했고, 이후 인권 침해 및 전쟁 패배에 대한 책임을 물어 기소되었다.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나 사면되었고, 2003년 7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 군인 시절

1981년 당시의 갈티에리


이탈리아계 이민자(이탈리아계 아르헨티나인) 집안에서 태어난 갈티에리는 17세에 아르헨티나군 사관학교에 입학하여 파나마의 미주 학교(서반구안보협력연구소)에서 교육받았다. 이사벨 페론 정권 붕괴 이후 정치적 혼란 속에서 군사 정권 쿠데타에 관여했으며, 1980년 아르헨티나 육군 사령관에 취임했다.[3]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레오폴도 포르투나토 갈티에리는 1926년 7월 15일 부에노스아이레스주 카세로스에서 노동자 계급의 이탈리아계 아르헨티나인 부모 프란시스코 로사리오 갈티에리와 넬리다 빅토리아 카스텔리 사이에서 태어났다.[4] 1943년, 17세의 나이에 국립 육군 사관학교에 입학하여 토목 공학을 공부했으며, 초기 군 경력은 아르헨티나 육군 공병대 장교로 시작되었다. 그는 군대 계급을 높이는 것 외에도 1950년대 중반까지 공학 연구를 계속했다. 1949년에는 미국 육군 아메리카 학교를 졸업했다.[5] 1958년에는 육군대학 교수가 되었다.[6]

갈티에리는 루시아 노에미 젠틸리와 결혼했으며, 부부는 아들 1명과 딸 2명을 두었다.[7]

2. 2. 더러운 전쟁 가담

갈티에리는 1976년 아르헨티나 쿠데타를 열렬히 지지하여 이사벨 페론 대통령을 전복시키고 우익 군사 정부를 수립했다. 이로 인해 그는 1977년 소장, 1980년에는 중장 계급으로 육군 참모총장이 되었다.[1] 군사 정부 통치 기간 동안 아르헨티나 국회는 해산되었고, 노동 조합, 정당, 주 정부가 금지되었다.[1] 더러운 전쟁으로 알려진 기간 동안, 좌익 전복 분자로 간주된 9,000명에서 30,000명 사이의 사람들이 사회에서 강제 실종되었으며, 고문과 대량 학살이 만연했다.[1]

갈티에리는 1970년대 군사 정권에 의해 행해진 "더러운 전쟁"에서 페론주의자나 좌익으로 여겨진 국민에 대한 탄압을 실질적으로 지휘했다.[3] 이 과정에서 약 3만 명이 사망 또는 행방불명되었다고 전해진다.[3]

2. 3. 미국의 지원

1981년 3월, 갈티에리는 미국을 방문하여 따뜻한 환대를 받았다. 레이건 행정부는 이 정권을 공산주의에 대한 방어선으로 여겼기 때문이다. 국가 안보 보좌관 리처드 V. 앨런은 그를 "위대한 장군"이라고 묘사했다.[1] 갈티에리는 아르헨티나 군의 냉전 시대 "이념적 국경" 교리에 따라 니카라과 혁명 기간 동안 사회주의 산디니스타 정부에 반대하는 콘트라 반군 단체를 지원했다.[1] 8월에는 니카라과 민주군(FDN, 한때 주요 콘트라 단체)을 조직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고문관을 파견했으며, 아르헨티나 기지에서 FDN 지도자들을 훈련시켰다.[1] 이 계획에 대한 그의 지원으로 갈티에리는 많은 경쟁 장군들을 제거할 수 있었다.[1]

3. 대통령 재임

갈티에리가 아르헨티나 대통령 취임 첫날


1981년 12월, 쿠데타를 통해 로베르토 에두아르도 비올라를 실각시키고 아르헨티나 대통령에 취임했다.[8] 갈티에리는 호르헤 라파엘 비델라, 로베르토 에두아르도 비올라 등 전임 대통령들보다 더욱 강경한 입장을 가진 것으로 평가받았다. 집권 당시 아르헨티나는 하이퍼인플레이션이 지속되는 등 정치·경제적 혼란이 심화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1982년에 들어서자, 오랫동안 영국이 실효 지배하고 있던 아르헨티나 남부 해역의 말비나스 제도에 대한 영유권 문제를 부각시키기 시작했다.[25] 국내에서는 말비나스 제도 문제가 과열 양상을 보였고, 국민들 사이에서는 "정부가 하지 않으면 의용군을 조직해서 말비나스 제도를 되찾자"는 움직임으로까지 발전하게 되었다.

3. 1. 권력 장악



1981년 12월 22일, 갈티에리는 로베르토 비올라 장군을 축출한 지 일주일 만에 아르헨티나 대통령으로 임명되었다.[8] 공식적으로 비올라는 건강 문제로 사임하고 내무부 장관 호라시오 리엔도를 후임으로 지명했으나, 실제로는 비올라 정권이 경제 위기를 해결하지 못하고 군 내부 갈등을 야기했기 때문에 권좌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갈티에리는 대통령직을 수행하는 동안에도 육군 총사령관 직을 유지하며 군에 대한 직접적인 통제권을 행사했으며, 새로운 총사령관을 임명하지 않았다.[8]

1981년 12월, 갈티에리는 쿠데타를 통해 로베르토 에두아르도 비올라를 실각시키고 아르헨티나 대통령에 취임했다. 갈티에리는 전임 대통령인 호르헤 라파엘 비델라로베르토 에두아르도 비올라보다 더욱 강경한 입장을 가진 것으로 평가받았다. 한편, 국내에서는 하이퍼인플레이션이 지속되는 등 정치·경제적 혼란이 심화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갈티에르는 1982년에 들어서자, 오랫동안 영국이 실효 지배하고 있던 아르헨티나 남부 해역의 말비나스 제도(포클랜드 제도)에 대한 영유권 문제를 부각시키기 시작했다.[25] 이를 계기로 아르헨티나 국내에서는 말비나스 제도 문제가 과열 양상을 보였고, 국민들 사이에서는 "정부가 하지 않으면 의용군을 조직해서 말비나스 제도를 되찾자"는 움직임으로까지 발전하게 되었다.

3. 2. 국내 정책

카사 로사다에서 갈티에리


갈티에리는 제한적인 정치 개혁을 실시하여 반대 의견 표명을 허용했고, 반 군사 정권 시위와 민주주의 복귀를 위한 운동이 곧 일반화되었다.

갈티에리는 보수적인 경제학자이자 출판인인 로베르토 알레만을 경제부 장관으로 임명했다. 알레만은 1970년대 후반 호세 알프레도 마르티네스 데 호스의 경제 정책 이후 깊은 경기 침체에 빠진 경제를 물려받았다. 알레만은 지출을 대폭 삭감하고, 정부 소유 산업 매각을 시작했으며(성공은 미미했다), 긴축 통화 정책을 시행하고, (130% 인플레이션 속에서) 임금 동결을 명령했다.[10]

아르헨티나 중앙 은행의 서클 1050호는 현지에서 주택 담보 대출 금리를 미국 달러 가치에 연동시켰지만 유지되었고, 이로 인해 위기가 더욱 심화되었다. 국내총생산(GDP)은 5% 감소했고, 기업 투자는 1981년의 약화된 수준에서 20% 감소했다.[11]

갈티에리의 최측근 중 한 명인 제1군단장 기예르모 수아레스 메이슨 장군은 당시 국영 석유 회사이자 아르헨티나에서 가장 큰 기업이었던 야시미엔토스 페트롤리페로스 피스칼레스(YPF) 회장으로 임명되었다. 수아레스 메이슨의 역할은 이 회사에 60억달러의 손실을 초래하는 데 기여했으며, 이는 당시 세계에서 기록된 가장 큰 기업 손실이었다.[12]

갈티에리는 니카라과의 산디니스타에 대항하는 중앙정보국의 활동을 지지했으며, 백악관 방문 당시 따뜻한 환영을 받았다.[13] 갈티에리 재임 기간 동안 아르헨티나의 지원은 콘트라의 주요 자금 및 훈련 공급원이 되었다.[14] 아르헨티나의 군사 및 정보 협력은 1982년 아르헨티나가 포클랜드 제도를 침공하면서 레이건 행정부와 단절되었다.

1981년 12월, 갈티에리는 권력 투쟁에서 쿠데타를 통해 로베르토 에두아르도 비올라를 실각시키고, 아르헨티나 대통령에 취임했다. 갈티에리의 정치적 입장은 전임 대통령인 호르헤 라파엘 비델라나 전전임 대통령인 비올라에 비해서도 더욱 강경한 것으로 평가받는 한편, 국내는 하이퍼인플레이션이 지속되는 등 정치·경제적 혼란이 심화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갈티에르는 1982년에 들어서자, 오랫동안 영국이 실효 지배하고 있던 아르헨티나 남부 해역의 말비나스 제도(포클랜드 제도)에 대한 영유권 문제를 부각시키기 시작했다.[25] 이를 계기로 아르헨티나 국내에서는 말비나스 제도 문제가 과열 양상을 보였고, 국민들 사이에서는 "정부가 하지 않으면 의용군을 조직해서 말비나스 제도를 되찾자"는 움직임으로까지 발전하게 되었다.

3. 3. 포클랜드 전쟁

포클랜드 제도를 방문하는 갈티에리(1982년)


1982년 4월, 레오폴도 갈티에리는 집권 4개월 차였고, 그의 인기는 낮았다.[15] 같은 해 4월 2일, 그의 명령에 따라 아르헨티나군은 오랜 기간 아르헨티나가 영유권을 주장해 온 영국포클랜드 제도를 침공했다.

처음에는 이 침공이 아르헨티나에서 인기를 얻었고, 반 군사 정권 시위는 갈티에리를 지지하는 애국 시위로 대체되었다. 그러나 갈티에리와 그의 정부 대부분은 영국이 군사적으로 대응하지 않을 것이라고 잘못 믿었다.[16][13]

마거릿 대처 총리가 이끄는 영국 정부는 아르헨티나가 즉각적인 아르헨티나 철수를 요구하는 유엔 결의안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 군사적으로 섬을 되찾기 위해 해군 기동 부대를 파견했다. 아르헨티나는 이 결의안을 준수하지 않았고, 그 결과 1982년 6월 14일 영국군에 항복했다.

앞서 1981년 12월, 갈티에리는 권력 투쟁에서 쿠데타를 통해 로베르토 에두아르도 비올라를 실각시키고 아르헨티나 대통령에 취임했다. 갈티에리의 정치적 입장은 전임 대통령인 호르헤 라파엘 비델라나 전전임 대통령인 비올라에 비해서도 더욱 강경한 것으로 평가받는 한편, 국내는 하이퍼인플레이션이 지속되는 등 정치·경제적 혼란이 심화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갈티에르는 1982년에 들어서자, 오랫동안 영국이 실효 지배하고 있던 아르헨티나 남부 해역의 말비나스 제도(포클랜드 제도)에 대한 영유권 문제를 부각시키기 시작했다.[25] 이를 계기로 아르헨티나 국내에서는 말비나스 제도 문제가 과열 양상을 보였고, 국민들 사이에서는 "정부가 하지 않으면 의용군을 조직해서 말비나스 제도를 되찾자"는 움직임으로까지 발전하게 되었다.

같은 해 4월, 갈티에리는 군의 공격을 명령(포클랜드 제도 침공)하여, 곧이어 동 제도의 주도인 포트 스탠리를 점령했다. 초전에서는 아르헨티나 공군기가 다수의 영국 해군 함정을 격침시키며 유리하게 싸움을 이끌었지만, 영국군이 장거리 폭격기에 의한 공습과 육전, 동맹국인 미국의 원조를 얻은 정보전을 유리하게 이끌면서 단숨에 열세에 놓였다. 아르헨티나는 분쟁 당시 반공의 일환인 '더러운 전쟁'으로 미국과 일종의 공조 관계에 있었다고도 할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 양국 간에는 동맹 관계가 없었고,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는 마찬가지로 신보수주의 정책을 펼치는 마거릿 대처 행정부와의 관계를 우선시했다. 또한, 소련을 중심으로 하는 동구권 국가들로부터도 국내 좌파 탄압 때문에 적극적인 지원을 얻지 못했다. 게다가 아르헨티나와 마찬가지로 군사 권위주의 체제인 칠레피노체트 정권이 영토 문제로 인한 대립으로 영국 편을 드는 등, 갈티에리의 판단은 크게 빗나가 국제적으로 고립되었다.

6월 14일영국 육군이 포트 스탠리를 포위하면서 아르헨티나군은 항복하고 패배했다.

4. 몰락과 최후

1982년 포클랜드 전쟁에서 아르헨티나가 패배하면서 군사 정권의 위신은 크게 실추되었고, 국민들 사이에서는 반군 감정이 높아졌다. 포클랜드 제도의 수도 스탠리가 영국군에 재탈환되자 군부 내 위기가 촉발되었고, 갈티에리는 이에 대한 책임을 지고 권좌에서 물러났다. 이후 18개월 동안 경호가 삼엄한 시골 별장에서 지냈다.

1983년 군사 법정에서 "더러운 전쟁"과 말비나스 전쟁 패배에 대한 책임으로 육군 지위가 강등되었고, 1986년 수감되었다. 1985년 민권 침해 혐의에 대해서는 무죄 판결을 받았지만, 1986년 5월 전쟁을 잘못 처리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1988년 11월 원심이 확정되어 계급이 박탈되었다. 1991년 카를로스 메넴 대통령에 의해 사면되기 전까지 5년간 감옥에서 보냈으며, 2002년 민사 소송에서 유죄를 선고받았지만 "건강 상태 악화"를 이유로 자택 연금 처분을 받았다.

이후 부에노스아이레스의 병원에서 췌장암 치료를 위해 입원했으나, 2003년 1월 심장 마비로 7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4. 1. 권력 상실

1982년 6월 14일, 포클랜드 제도의 수도인 스탠리가 영국군에 의해 재탈환되면서, 군사 행정부가 영국의 군사적 대응을 억제하지 못했다는 사실은 군부 내에서 전례 없는 위기를 촉발했다.[17][18] 갈티에리는 패배의 책임을 지고 권좌에서 물러났고, 아르헨티나에 민주주의가 회복되는 동안 18개월 간 경호가 삼엄한 시골 별장에서 지냈다. 1983년 말, 다른 전직 군부 구성원들과 함께 체포되어 더러운 전쟁 기간 동안의 인권 침해와 포클랜드 전쟁의 잘못된 관리 혐의로 군사 법원에서 기소되었으며, 1986년 12년 형을 선고받았다.[19]

1985년 12월, 민권 침해 혐의에 대해서는 무죄 판결을 받았지만, 1986년 5월 (공군 및 해군 사령관과 함께) 전쟁을 잘못 처리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세 사람 모두 민사 법원에 항소했고, 검찰은 더 무거운 형량을 요구했다. 1988년 11월, 원심이 확정되었고 세 명의 사령관은 모두 계급을 박탈당했다. 1989년, 갈티에리와 독재 정권의 다른 39명의 장교들은 카를로스 메넴 대통령의 사면을 받았다.[20]

전쟁 패배로 군사 정권의 위신은 실추되었고, 국민들 사이에서 반군 감정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 6월 16일, 외무장관과 내무장관이 갈티에리에게 항의하며 사표를 제출했고, 다음 날인 17일에 패배의 책임을 물어 대통령 및 육군 총사령관 직에서 실각했다.

1983년 군사 법정에서 "더러운 전쟁"과 말비나스 전쟁 패배에 대한 책임을 물어 육군 지위가 강등되었고, 1986년 5월 수감되었다. 이후 1991년 카를로스 메넴 대통령에 의해 사면받기까지 5년간 감옥에서 보냈다. 2002년 7월 민사 소송이 제기되어 유죄를 선고받았지만, "건강 상태 악화"를 이유로 자택 연금 처분을 받았다.

이후 부에노스아이레스 병원에서 췌장암 치료를 위해 입원했으나, 2003년 1월 심장 마비로 7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4. 2. 재판 및 처벌

1983년 군사 법정에서 "더러운 전쟁"과 말비나스 전쟁에서의 패배에 대한 책임을 물어 육군에서의 지위가 강등되었고, 1986년 5월에 수감되었다.[19] 1982년 6월 14일, 포클랜드 제도의 수도인 스탠리가 영국군에 의해 재탈환되면서 군사 정권은 큰 타격을 입었다. 군사 인물들이 통치하는 행정부가 영국의 군사적 대응을 억제하지 못했다는 사실은 군부 내에서 전례 없는 위기를 촉발시켰다. 갈티에리는 패배의 책임을 지고 권좌에서 물러났으며, 이후 18개월 동안 경호가 삼엄한 시골 별장에서 지냈다. 1983년 말, 그는 다른 전직 군부 구성원들과 함께 체포되어 군사 법원에서 더러운 전쟁 기간 동안의 인권 침해와 포클랜드 전쟁의 잘못된 관리 혐의로 기소되었다. "라텐바흐 보고서"[17]로 알려진 아르헨티나 육군의 내부 조사에서는 전쟁의 부적절한 행위에 책임이 있는 사람들을 군사 사법 규정에 따라 기소할 것을 권고했다.[18]

1985년 12월, 갈티에리는 민권 침해 혐의에 대해 무죄 판결을 받았지만, 1986년 5월 (공군 및 해군 사령관과 함께) 전쟁을 잘못 처리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세 사람 모두 민사 법원에 항소했고, 검찰은 더 무거운 형량을 요구했다. 1988년 11월에 원심이 확정되었고, 세 명의 사령관은 모두 계급을 박탈당했다. 1989년, 갈티에리와 독재 정권의 다른 39명의 장교들은 카를로스 메넴 대통령의 사면을 받았다.[20]

2002년 7월에도 민사 소송이 제기되어 유죄를 선고받았지만 "건강 상태 악화"를 이유로 자택 연금 처분을 받았다. 그 후, 부에노스아이레스의 병원에 췌장암 치료를 목적으로 입원했으나, 2003년 1월에 심장 마비로 7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4. 3. 추가 기소 및 사망

갈티에리는 포클랜드 전쟁에서 아르헨티나가 패배한 것에 대해 심한 비난을 받았다.[10] 그는 감옥에서 풀려난 후 부에노스아이레스의 비야 데보토 외곽으로 이사하여 아내 루시아와 함께 검소하게 살았다.[10] 그는 은둔자가 되었고 언론 인터뷰 요청 대부분을 거절했지만, 드물게 가진 인터뷰에서 더러운 전쟁 기간 동안 자신이 한 일에 대해 "후회하지 않는다"고 말했다.[10] 그는 매달 9,000 아르헨티나 페소의 군인 연금으로 생활했으며 대통령 연금을 청구하려 했으나 판사가 이를 거부했다.[10] 판사는 판결에서 그의 대통령직이 선출된 적이 없었기 때문에 불법이었으며, 그에게 소송 비용을 지불하라고 명령했다.[10]

2002년 5월, 그는 아르헨티나 육군의 날(Día del Ejército Argentino) 기념 군사 퍼레이드에 초청받았다.[10] 전 "사실상의 대통령"의 참석은 기자 마르틴 치촐리가 텔레비전 프로그램 ''Kaos en la Ciudad''에서 그에게 대면하여 질문하면서 여론에서 엄청난 논란을 일으켰다.[10]

2002년 7월, 1970년대 후반(갈티에리가 제2군단 사령관이었을 때) 어린이 납치와 18명의 좌익 동조자 실종, 그리고 비슷한 시기에 3명의 스페인 시민의 실종 또는 사망과 관련하여 새로운 민사 소송이 제기되었다.[10] 갈티에리는 다른 28명의 관리들과 함께 기소되었지만, 건강이 좋지 않아 자택에 머물 수 있도록 허용되었다.[10]

1983년 군사 법정에서 "더러운 전쟁"과 말비나스 전쟁에서의 패배에 대한 책임을 물어 육군에서의 지위가 강등되었고, 1986년 5월에 수감되었다.[11] 이후 1991년 카를로스 메넴 대통령에 의해 사면받기까지 5년간 감옥에서 보냈다.[11] 2002년 7월 민사 소송이 제기되어 유죄를 선고받았지만, "건강 상태 악화"를 이유로 자택 연금 처분을 받았다.[11]

이후 부에노스아이레스의 병원에 췌장암 치료를 목적으로 입원했으나, 2003년 1월 심장 마비로 7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1]

참조

[1] 웹사이트 Argentina's Military Dictatorship http://www.clarin.co[...] 2010-03-11
[2] 웹사이트 Murió Galtieri, el general que llevó al país a la guerra http://www.whatargen[...] Dark Years
[3] 웹사이트 Argentina: Secret U.S. Documents Declassified on Dirty War Atrocities http://www.gwu.edu/~[...]
[4] 웹사이트 "Si, señora periodista, desciendo de italianos. Mis abuelos eran italianos. Mi abuelo de Génova y mi abuela de Calabria. Vinieron aquí con las oleadas de inmigrantes que se produjeron al comienzo de siglo. Eran obreros pobres, pronto hicieron fortuna." http://www.malvinaso[...] Cambio 16 1982-06
[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Dirty War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6]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mps.mpsomaha.[...] 2013-05-03
[7]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soaw.org/[...] 2013-05-03
[8] 웹사이트 General Leopoldo Galtieri https://www.historyl[...]
[9] 웹사이트 grows old with his Falklands secrets", ''The Scotsman'', 2 April 2002 The Scotsman 2002-04-02
[10] 서적 The Crisis of Argentine Capitalism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1] 서적 Argentina: From Insolvency to Growth World Bank Press
[12] 서적 Argentina: Democracy on Trial. Paragon House
[13] 웹사이트 Ronald Reagan y la guerra de Malvinas https://www.elhistor[...] 2017-11-06
[14] 서적 Cocaine Politics Berkeley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1
[15] 웹사이트 General Leopoldo Galtieri http://www.historyle[...] 2015-05-26
[16] 웹사이트 Haig: "Malvinas fue mi Waterloo" http://www.malvinaso[...] 2006-09-21
[17] 웹사이트 Página/12 :: Contratapa :: Rattenbach http://www.pagina12.[...]
[18] 웹사이트 Malvinas - Encuadramiento jurídico de los responsables http://www.cescem.or[...]
[19] 웹사이트 Página no encontrada https://www.clarin.c[...] 2021-04-30
[20] 뉴스 Pardon of Argentine Officers Angers Critics of the Military https://www.nytimes.[...] 1989-10-09
[21] 뉴스 General Leopoldo Galtieri https://www.theguard[...] 2003-01-13
[22] 웹사이트 "Frail, pathetic Galtieri".British Profile of former Argentine President https://en.mercopres[...]
[23] 뉴스 Former Argentine dictator Galtieri dies http://news.bbc.co.u[...] 2003-01-12
[24] 뉴스 Murió el amigo del whisky y la tortura https://www.pagina12[...] 2003-01-13
[25] 서적 フォークランド紛争 六角堂出版 2014-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